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현대도시의 주요 조경설계대상인 오픈스페이스 중, 근린공원 또는 근린공원 규모에 해당하는 다른유형의 오픈스페이스에 대해 사례연구 및 계획 설계방법을 학습하고 실제 대상지에 적용해 봄으로써, 현황분석, 대상지 맥락의 파악, 계획목표의 설정, 대안의 개발과 평가, 마스터플래닝까지의 오픈스페이스 설계과정을 습득하여, 도시의 주요 공공공간, 단지 및 기반시설공간, 생태적 공간까지도 계획설계 가능한 차세대 조경가로서의 능력을 강화한다.

조경관리와 LIM (Landscape Management and LIM)

조경기사시험에 필수과목으로서 종합적인 조경관리의 기술을 습득함. 특히 4차산업혁명기반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과모듈에 해당하는 과목으로서 4차산업혁명기술과 조경관리와의 접목에 관한 내용과 실습을 특강을 통해 습득한다.

LIM공간디자인 (space Design with LIM)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인 AutoCAD와 스케치업(SketchUp), 3DMAX의 기본 지식의 습득을 통해 그래픽 디자인 활용 능력을 배양시키는데 있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은 Idrisi와 Arc/Info를 이용, GIS에 대한기본 지식과 응용력을 배양시킴과 동시에, 새로운 분석기법을 통해 취업의 폭 을 넓힐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이 목적이다.

조경시공구조공학 (Landscape Structure and Construction)

조경공간과 조경시설을 설계하고 시공하는데 필요한 제반 공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정지설계, 도로설계, 배수계획의 방법 및 기초적인 구조역학을 다룬다.

조경관리학 (Manage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합리적인 조경시공에 필요한 시공관리에 관한 지식과 조경시설과 식물의 유지관리, 그리고 공원과 레크레이션 공간의 이용과 운영에 관한 지식의 습득을 통해 종합적인 조경관리의 기술과 방법을 다룬다.

환경복원녹화계획 (Environmental Revegtation Planning)

경관 보전녹화 및 식재계획, 환경보전녹화계획, 특수지 조경 식재 계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관 및 환경 보전녹화 · 식재계획은 교수 강의로 이루어지며, 특수지나 장소의 조경식재계획은 학생들에 의한 조사연구 및 세미나로 이루어진다.

환경측량학 (Environmental Surveying)

거리측량, 평판측량, 고저측량, 삼각측량 등 제반측량에 관한 환경적 측면에서의 기초적 이론과 측량방법을 강의하고 실습을 통해 실기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조경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조경스튜디오 (Landscape practice studio)

조경계획론과 조경설계 강의를 통하여 계획과 설계과정을 충분히 습득한 내용을 각기 독창적인 주제를 갖는 조경 대상지를 선정하고 사회여건에 부응하는 작업을 추진함으로서 졸업작품으로 발전시켜 계획과 설계의 전과정을 정리하고 판넬로 작품화하여 전시회까지 연계되는 교과목으로 각자의 충분한 환경계획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추구하는 교과목이다

조경시공적산실습 (Practice of Landscape Construction and Cost Estimation)

적산기준과 적용방법 등의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실무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도서의 수량산출 및 내역서 작성 등 적산에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실습하고 프로젝트 별로 공사비 내역서류를 작성함으로써 조경전문가로서의 적산능력을 완성한다.

환경계획설계론 (Environmental Planning &Design)

조경계획의 이론적 체계를 바탕으로 스튜디오 과정을 통해 익히는 일련의 과정으로 가장 기초적 설계과정인 개인주택정원, 어린이 놀이터 및 도시 소공원 등 규모가 작은 대상지를 그 설계 대상으로 하여 조경설계의 과정과 마스터플랜 작성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배양을 목표로 한다.

조경수목학실습 (Landscape Trees &practice)

조경 수목을 다룸에 있어 수목에 대한 생태적 이해 없이 식재를 하게 된다면, 한 생명을 너무 쉽게 잃기 쉽다. 본 강의는 수목의 생태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조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조경관계법규 (Law Related to Landscape Architecture)

조경법규의 정의와 타법률 속에서의 그 위상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 조경에 관련된 기본적인 법규들을 건축, 관광개발, 기술자, 공원 등의 항목별로 분류하여 고찰해봄으로써 개발과 보존의 절충을 위한 합리적인 조경법규를 이해시키며, 조경실무에서 접하게 될 각종 관련 법규들을 검토한다.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응용성과 활용도 등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 외에 Arc/Info, ArcView, Idrisi 등의 GIS Software 사용법에 대해 매주 실습 강의를 진행하여 수강학생들에게 GIS Software활용능력을 배양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강의는 기초적인 내용부터 진행되므로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수강이 가능하며 도면(MAP), Datadase Script Programming, 데이타 변환(Data Conversion)등에 대한 내용 또한 학습한다. 이외에도 위성 데이타를 분석하는 Image Processing과 자동위치추적시스템(GPS) 등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다.

환경토양학 (Environmental Soil Science)

토양의 물리학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측면과 도시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조경학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특히 수목 생육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토양수분, 수양유기물 및 무기성분에 대해서 살펴보고 조경시공현장에서 필요한 토양개량과 통양조사법을 소개한다.

조경미학실습 (Landscape Aesthetics &Practice))

인간에 의하여 창출되는 심미적인 발상과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손의 표현과 색의 표현방법이 우선화 되어 학부과정에서 조경학을 전공하는 수강자들에게 인간생활에 공유되는 자연생태환경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함이 본 강의의 목표를 두고 있다.

조경설계실습 (Landscape Planning Practice)

조경시공설계의 단계별 과정과 전반적인 ‘time schedule'을 개관한 후 시공에 필요한 시공도면 즉 시설물들의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및 상세도의 설계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조경실무에 대비하고, 조경공사 현장에 필요한 각종’shop drawing' 들의 연습, 설계발표력 테스트 및 실제 실행된 조경프로젝트를 비교분석해 본다.

조경적산학 (Cost Estimat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조경공사비 산출을 위한 적산의 기본이론과 적산체계 등 기본지식을 학습하고 적산 관련제도 및 법규, 적산기준과 적용방법 등의 전문지식을 익힘으로써 설계-시공-적산의 모든 과정을 거친 조경전문가의 자질을 배양한다.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조경계획론과 조경계획에서 강의했던 이론적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스튜디오 과정을 통해 익히는 과정 중 전문 조경인으로서의 능력을 함양시키는 교육으로 환경계획설계론의 조경 대상지가 일정 계층의 소규모 공간을 중심으로 한다면 본 과목은 대중적이며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도시공원, 자연공원, 관광지, 유원지 및 주제공원 등 대규모 공간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식재설계 (Planting Design)

조경설계 중 그 비중이 큰 식재·녹화설계의 실무능력 배양을 위하여 식재 설계실습 위주로 강의가 진행된다. 식재설계팀을 구성한 후, 주어진 대상지를 사례지로 하여 실재설계의 이론과 기법을 설계에 반영하는 실습과정을 반복, 학습한다. 식재설계는 교수 강의와 설계발표 및 수정, 보완과정을 거치게 된다.

컴퓨터디자인및GIS (Computer Design &GIS)

강좌는 AutoCAD Draving 파일을 GIS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활용, 응용성에 대한 기본 지식을 이론과 실습을 토대로 하여 CAD, GIS와 인공위성 데이터를 분석하는 Image Processing 활용 능력을 배양시키는데 있다. 또한 3D MAX와 photoshop의 기초와 활용법을 익힌다.

조경실무실습 (Landscape Engineering Practice)

관공서, 기업, 단체 등에서 조경, 토목, 건축, 설비 등의 각종 사업의 진행 과정에 수행하는 제반 행정업무 및 기술 관리업무의 이론과 현장 경험적 방법을 수강하고, 현장에 직접 견학 EH는 체험 실습하여 조경실무 능력을 배양하는 학습이다. 친환경건설개론I(Introduction to Environmental-Friendly Construction I) 건축, 토목 및 조경분야 등에서의 건설행위가 개발주도로 행해지고 있는 현실에 즈음하여 보다 환경보전적인 측면을 고려한 건설기법의 창출을 위하여 그 기본개념을 살펴보는데 있다. 친환경적 또는 환경친화적 건설을 위한 세부항목으로서 인간사회에서의 환경의 구조, 생태계와 환경의 관련성, 각종 환경오염의 종류와 문제점, 전 지구적 환경문제에 대한 적응력 소개 및 환경보전을 위한 인간의 노력 등을 다루고 있다.

친환경건설개론I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Friendly Construction II)

친환경 건설의 한 분야인 조경의 기본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조경학의 다양한 내용과 영역, 역사 등을 소개하고 조경전공에 필요한 원론 지식을 학습함으로써 조경 전문가로서의 기초를 습득하고 능력을 배양한다.

조경제도및표현기법 (Landscape Drawing &Technics of Drawing)

조경도면의 작성 및 표현방법을 교육하는 과정으로 실무적응능력을 갖추기 위한 기초실습과정으로 최고의 우수도면 사례 중심의 교육

환경생태학 (EnvironmentalEcology)

생태학 기초이론 학습과 환경ㆍ생태관련 비디오 수업, 현장학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의는 교재와 슬라이드에 의한 강의와 과제물 학습, 비디오수업으로 진행된다. 생태학 기초이론 학습에서는 생태학 연구사, 제한요인, 개체군 생태, 생물군집상태, 생태계, 인간생태학의 이론과 원리 등을 국토 및 도시환경과 관련하여 강의한다. 한편 환경ㆍ생태관련 비디오 시청과 야외실습을 통하여 생태학과 환경계획 및 관리에 관한 현상과 연관성을 학습하고 환경게획 및 관리에 응용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강의 목표로 한다.